작성일
2024.04.24
수정일
2024.04.24
작성자
차지훈
조회수
54

지체장애성인, 뇌병변장애성인의 장애수용도와 주거환경 만족도 분석

1. 연구필요성 및 목적

 장애수용은 장애를 자기의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자신이 현재 가지고 있는 가치에 더 큰 의미를 둘 뿐만 아니라, 사회와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신의 삶을 이루어가는 과정으로 장애인들이 사회에 적응하고,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자립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장애수용은 개인의 심리적 요인도 중요하지만 환경적인 요인 또한 매우 중요하다. 환경적 요인은 비공식적 지원정도, 고용환경, 재활서비스 이용경험 등의 요인도 있지만, 물리적 환경에 해당하는 주거환경은 매우 중요하다. 장애인에게 있어 주거는 단순히 집, 거주하는 환경의 의미 뿐만 아니라, 장애인 자기 생각과 철학을 담아내는 삶의 중심이며, 주거 공간을 통해 주위 사람들과의 상호관게를 형성하는 사회적 통로로서의 의미가 있으므로, 장애와 주거의 상호연관성은 매우 높다.

 특히, 지체장애성인과 뇌병변장애성인들에게는 주거지원이 매우 중요한데, 지체장애성인은 이들이 가진 신체적, 감각적장애, 제한적인 소근육 운동발달, 수반된 중복장애 등으로 일상생활 기능의 제한이 가중되고, 뇌병변장애성인은 뇌 손상의 정도와 범위에 따라 자양한 중복장애를 가지게 됨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가지게 된다. 

 한편, 장애수용에 있어서 환경적 요인은 중요한 요인이지만, 환경적 제약과 장애수용도의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는 매우 미흡하며, 특히 물리적 측면에서의 제약에 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체장애성인, 뇌병변장애성인의 주거환경 만족도가 장애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과 주거환경 개선 욕구가 무엇인지 탐색함으로써 이들의 장애 수용도 증진 및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문제

 첫째, 지체장애성인, 뇌병변장애성인의 장애 수용도와 주거환경 만족도는 어떠한가?

 둘째, 지체장애성인, 뇌병변장애성인의 특성(성별, 장애 종류, 장애정도, 연령, 거주지역, 월평균 가구소득)과 주거환경 만족도가 장애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지체장애성인, 뇌병변장애성인의 주거환경 개선 욕구는 어떠한가?


3. 연구방법

 

 가. 연구대상

   한국장애인개발원에서 조사한 제4차 장애인 삶 패널조사의 데이터에서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20대 이상의 지체장애성인과 뇌병변장애성인(N=1,411)패널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추론하였다.


 나. 연구도구


1) 장애 수용도

본 연구에서는 지체장애성인, 뇌병변장애성인의 장애 수용도를 탐색하기 위하여 한국장애인개발원에서 조사한 제4차 장애인삶 패널조사 항목 중 ‘A. 장애 수용 및 변화항목 중 장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9개 문항을 사용하였다. 해당 문항에 대한 반응 양식은 Likert4점 척도로서 전혀 그렇지 않다(1)’, ‘거의 그렇지 않은 편이다(2)’,‘그런 편이다(3)’,‘매우 그렇다(4)’로 반응함으로써 응답 점수가 높을수록 장애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임을 의미하였다. 해당 문항에 대한 Conbach’s α.76으로 산출됨으로써 연구 도구로 활용하기에 신뢰할 만하다고 할 수 있다.


2) 주거환경 만족도

본 연구에서는 지체장애성인, 뇌병변장애성인의 주거환경 만족도를 탐색하기 위하여 한국장애인개발원에서 조사한 제4차 장애인삶 패널조사 항목 중 ‘B. 건강·의료항목 중 주거환경평가에 대한 11개 문항을 사용하였다. 해당 문항에 대한 반응 양식은 Likert 4점 척도로서 전혀 그렇지 않다(1)’, ‘거의 그렇지 않은 편이다(2)’,‘그런 편이다(3)’,‘매우 그렇다(4)’로 반응함으로써 응답 점수가 높을수록 장애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임을 의미하였다. 해당 문항에 대한 Conbach’s α.86으로 산출됨으로써 연구 도구로 활용하기에 높은 신뢰도를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3) 주거환경 개선욕구

본 연구에서는 지체장애성인, 뇌병변장애성인의 주거환경 개선 욕구를 탐색하기 위하여 제4차 장애인삶 패널조사 항목 중 ‘B. 건강·의료항목 중장애인 편의시설과 관련하여 주거 공간에서 수리(개조 등)가 필요한 공간을 묻는 1개 문항과 ‘C. 자립항목 중 장애인의 주거 안정을 위하여 정책적으로 강화되어야 하는 것을 묻는 1개 문항을 사용하여, 주거환경 개선 욕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다. 자료처리 및 분석

 

본 연구에서는 지체장애성인, 뇌병변장애성인의 장애 수용도와 주거환경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추출된 자료를 IBM SPSS 27.0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처리하였다.

첫째, 지체장애성인, 뇌병변장애성인의 기초 배경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 통계량(N, %)을 산출하였다.

둘째, 지체장애성인과 뇌병변장애성인의 주거환경 만족도와 장애 수용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M, SD),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차가 검증될 경우에는 Scheffe 사후 검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셋째, 지체장애성인과 뇌병변장애성인의 특성(성별, 장애종류, 장애정도, 연령, 거주지역(권역), 월평균 가구소득), 주거환경 만족도가 장애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지체장애성인과 뇌병변장애성인의 주거환경 개선 욕구를 파악하고자,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